2025년 7월 31일 목요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1. 美, 한국에 '4000억 달러' 투자안 요구 → 552 조원.
우리가 준비해 간 규모의 4배...
대통령실 관계자는 '한국이 꽤 괜찮은 카드를 여러개 제시했는데(미국이) 계속 '더 가져오라고 요구하고 있다”며 어디까지 양보해야 타결될지 의문이라고 전해. (문화)
2. 지방으로 간 공기업, 이직률 3배
→ 한국토지주택공사(LH·경남 진주)와 한국관광공사(강원 원주), 한국도로공사(경북 김천)의 최근 3년 평균 이직률은 6~7%로 고용노동부가 조사한 300인 이상 일반 사업체(1~2%)의 3배 이상.
인구 분산 효과는 없고 해당 공기업의 경쟁력만 약화시킬 우려.(문화)
3. 지난해 외국인 환자가 쓰고간 의료비 1조 4천억 → 인원도 117만여명.
1년전에 비해 1.9배 늘어.
집계에 잡히지 않는 현금, 알리페이 등 감안하면 수천억 원은 더 사용했을 것.
국적별로는 일본 (44만1000명), 중국(26만1000명), 미국(10만 2000명), 대만(8만3000명), 태국(3만8000명) 순.(아시아경제)
4. AI가 답해주는 검색 시대... 편리하긴 하지만 → 뉴스, 저작물 등 원본 자료에 접근하기 전에 AI가 요약해 먼저 답변.
저작권 침해 소지.
한편 원본 자료를 요약하는 과정에서 왜곡이 발생할 수도. (아시아경제)
5. '지방자치제' 30년 → 지방 재정 자립은 오히려 후퇴.
1998년 63.4%였던 자립도는 2020년 40%대로 하락해 2025년 기준 48.6%를 기록했다.
특히 지역별로 큰 차이...
특별·광역시의 경우 평균 56.7%이지만 일반 시도는 30%대, 군의 경우 17.7%일 정도다.(문화)
6, 외국인 인구 200만 시대 → 지난해 말 기준 외국인은 204만 3000명으로 국적별로는 한국계 중국인이 53만 8000명(조선족 26.3%)으로 가장 많았고, 베트남(28만 5000명), 중국(22만 3000명) 순이었다.
증가가 빠른 국가는 베트남, 미얀마, 네팔 순이었다(헤럴드경제)
7 '산악인' 허영호 대장, 담도암으로 별세 → 향년 71세.
세계 최초 7대륙 최고봉 등정 3극점 도달…그랜드슬램 달성.
또 국내 최고령 에베레스트 등정(63세),
국내 최다 에베레스트 등정 (6회) 기록도...(한국 외)
8. 느리게 걷기는 효과 미미... 하루 15분 빠르게 걷기, 사망률 19% 낮춰
→ 미국 밴더빌트대 연구팀 연구 결과.
하루 15분이라도 빠르게 걷는 경우 전체 사망률이 19% 낮아지지만 느리게 걷기는 3시간 이상이어도 4%,
3시간 미만은 1~2%. 효과..
유의미한 수준에는 못 미쳐.(국민)
9. 양식장 물고기. 폭염에 떼죽음 당하느니 바다로 방류 → 여수시, 양식 우럭 치어 등 100만마리 방류.
해양수산부도 긴급 방류 적극 권장.
폐사로 인한 문제도 예방하고 수산자원 회복에 긍정 영향 기대.(동아 외)
10. 호주, 16세 미만 유튜브도 금지
→ 세계 최초로 16세 미만 어린이의 SNS 사용을 전면 금지하 는 법안을 추진 중인 호주 정부가 유튜브도 규제 대상에 넣기로 결정.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 역시 '16세 미만은 유튜브를 포함해 틱톡,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스냅챗, X(옛 트위터) 등 모든 SNS 계정을 가질 수 없다'고 강조(한경)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