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10일 목요일

2025년 7월 10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2025년 7월 10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1. 운석 찾기 할 만하네... 금보다 비싼 55억 운석, 경매 → 2023년 11월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에서 민간 수집가에 의해 발견된 화성 운석 24.5kg짜리. 뉴욕 소더비스 경매(16일)에 출품 예정. 낙찰가는 55억원 전망. 운석의 대부분은 대기권에서 타서 없어지기 때문에 이처럼 크고 온전한 운석이 발견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고(국민)▼

2. 노인 대상 과장 폭리 판매 ‘떴다방’ 주의 → 지자체들, 최근 어르신들의 지갑을 노린 ‘떴다방’에 골머리... 대다수 회원제 형태로 폐쇄적 운영. 젊은 사람은 출입 못해. 의료기, 건강식품, 일반 가전제품 폭리 판매. 대응 교육하는 지자체도 있어.(국민)

3. 남북 물밑 채널? '목선 표류' 北주민 6명 돌려보내 → 9일 동해 북방한계선 통해 귀환. 이들 모두 북한으로 돌아가겠다는 의사를 밝혀. 이들 6명 중 2명은 지난 3월 서해상에서, 나머지 4명은 지난 5월 동해상에서 구조됐다. 모두 30~40대 남성 어민.(아시아경제 외)▼
동해 NLL 선상에서 북으로 돌아가는 북주민 표류 어선

4. ‘대륙의 실수’는 진짜 실수? → 기자가 베이징 특파원을 하는 동안 10여가지 사오미 제품을 써봤다. 내구성을 알아보기 위함도 있었다. 지금은 모두 폐기했다. 특파원 생활을 마치고 귀국(2020년) 하면서 사온 70인치 샤오미 TV는 1년 전부터 문제가 생겨 최근 폐기했다.(아시아경제, 기자 칼럼)

5. 자비라도 조기유학은 마음대로 안된다 → 현행 초·중등교육법에 따르면 국민은 자녀가 중학교(의무교육)를 졸업할 때까지 다닐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부모가 모두 해외로 불가피하게 출국해야 하는 경우 등이 아니면 중학생까지 자비 해외유학이 인정되지 않는다.(문화)

6. ‘국민연금 담보대출’ 중단 → 국민연금 수급자를 대상으로 2.51% 금리로 최고 1000만원까지 긴급 자금을 대출해주는 국민연금 제도. 올 한도 소진. 하반기 예산 추가 확보 논의. 이 자금은 전월세 대금, 의료비, 배우자 장례비, 재해복구비로 용도가 제한.(헤럴드경제)

7. 아이스크림도 유통 기한은? → 아이스크림은 식품임에도 불구하고 유통기한 표시를 생략할 수 있다. 대신 제조일자 표시 의무가 있다. 제조사 자율로 품질유지기한 설정을 할 수 있는데 대개 제조일로부터 1년 정도다.(문화)

8. 땅 먹는 하마? 태양광 목표대로 깔면 서울 면적 70% 넘는 용지 필요 → 재검토 목소리. 2038년 목표 77.2GW의 전기를 얻기 위해선 용지 약 447㎢ 확보 필요. 이는 서울면적의 74%에 해당하는 면적...(매경)

9. ‘소비 쿠폰’ 배만큼 큰 배꼽? → 정부가 카드사를 통하지 않고 지역화폐 등으로 소비쿠폰을 지급받는 경우를 대비해 총 550억원을 책정... 이 중 지역화폐 발행비용 205억 원, 발행 인건비가 172억원.... 과도하다는 지적.(문화)

10. 이름 글자수 제한 → 한글이름 유행으로 긴 이름 등장하자 1993년 글자 수 제한 시작. 5자 이상은 출생 신고 안 받아줘. 이름도 유행이 있는데 관련 통계를 보면 남자의 경우 ▷40~60년대엔 '영수', '영호', '영식', '영철'이, ▷70년대엔 '정훈', '성훈', '상훈', '지훈' 등 -훈 계열이, ▷2000년대 들어서는 '민준', '준서', '서준', '하준'과 같이 '준'이 들어간 이름이 강세.(연합뉴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