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1일 금요일

2025년 8월 1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2025년 8월 1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1. 韓 대미 투자펀드 487조, 수익 90%는 미국이 가져간다? → 미 상무장관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주장. 이 비율은 일본과 같은 비율. 이에 대해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수익이 미국에 재투자된다는 뜻으로 이해하고 있다”고 언급.(헤럴드경제)


2. 여름 끝나기도 전에 벌써 불더위 신기록 연속 → 6, 7월 전국 평균 30.1도, 30일 서울의 최저기온 29.3도, 서울 열대야 일수(22일)도 117년간 기상 관측 이래 최고, 최장... 이 기록은 계속 경신 중.(경향 외)
3. 서울시, ’민원인 폭언감지 대응 시스템’ 효과 → 전화 민원인이 욕설이나 성희롱 발언을 하면 자동으로 감지해 2회 탐지땐 통화 종료. ‘경고 멘트’를 받은 민원인의 90% 이상이 욕설을 반복하지 않았다고.(헤럴드경제)

4. 에버랜드 개발한 장미 품종, 국제 장미대회서 2관왕 → 올해로 23회째 세계적 권위의 장미 콘테스트인 일본 기후현 대회에서 동상·특별상. 에버랜드는 2013년부터 40품종 개발해 와. 특히 2022년 금상 수상한 품종은 최근 일본 현지에서 판매... 국내 장미 해외 진출 1호.(헤럴드경제)

5. ‘기준중위 소득’ → 기준중위소득은 모든 가구를 소득에 따라 한 줄로 세웠을 때 정중앙에 오는 사람의 소득을 의미한다. 일반 평균보다 현실을 잘 나타낸다고 봐 복지의 기준이 된다. 생계급여는 ‘기준중위소득’의 32% 이하가, 의료급여는 40% 이하가 해당된다. 내년도에 적용될 기준중위소득은 4인 가구는 649만 4738원, 1인가구는 256만 4238원이다.(국민)

6. 남자축구와 같고 또 다른 여자축구 순위 → 2025년 6월 말 피파랭킹 1위는 미국. 한국은 21위. 2~10위는 스페인(2위), 독일(3위), 브라질(4위), 잉글랜드(5위), 스웨덴(6위), 일본(7위), 캐나다(8위), 북한(9위), 프랑스(10위) 순.(문화)

7. 성인용 기저귀 생산량, 어린이용 제품 첫 추월 → 저출생·고령화 속 수요 역전. 작년 성인용 4.8% 늘어 5만 7800톤. 어린이용보다 4000톤 많아.(서울경제)

8. 한국 대통령 취임 두달 다 돼가는데 뒤늦게 ‘당선 축하’? → 트럼프, 관세협상 타결을 알리는 SNS 말미에 이재명 대통령과의 2주 내 회담을 알리며 ‘새 대통령에게 선거 승리를 축하하고 싶다’ 언급. 그동안 미국 정부와 트럼프 누구도 한국의 새대통령에 대한 축하는 없었다.(한경)

9. 이 사진 보고도 ‘한국 쇠고기 시장 열어라’고 할 수 있겠나... → 미국이 이번 관세협상에서 중요한 이슈로 요구한 쇠고기 시장 개방. 우리 협상팀은 이명박 정부 당시 광우병 시위 사진을 보여 주며 한국의 반대 정서를 전했다고...(매경 외)
10. 왼종일(x), 웬종일(x), 왠종일(x), 온종일(o) → ‘왼종일’은 사전에 없는 말이다. 새타령의 ‘새가 날아든다. 왼갖 잡새가 날아든다’의 ‘왼갖’도 맞춤법 상으로는 ‘온갖’이 맞다.(중앙, 우리말 바루기)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