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20일 수요일

2025년 8월 20일 수요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2025년 8월 20일 수요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1. 반년치 월급이 1억 3천만 원? → 메리츠증권, 상반기 1인 평균 1억 3,139만 원. 본사 영업직원들은 2억 6354만 원... 이어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등이 반년치 월급이 1억 원 이상. 증권사 임직원 급여가 높은 건 본래 고임금인데다 상반기 국내 증시 급등 덕분. (아시아경제)


2. 해외여행 26.3% 늘어나는 동안 국내 소비는 2.2% 감소 → 지난해 해외여행 2,867만여 명, 2023년 대비 26.3% 늘어. 반면 통계청 소매판매지수는 2.2% 감소. 해외로 나가는 국민들의 발길을 국내로 돌릴 수 있는 묘안은 물론 국내 유명 관광지 종사자들의 자성도 필요. (한경 외)


3. 죽어야 받는 사망보험금, 55세 이후 연금처럼 받을 수 있다 → 사망보험금 유동화 제도. 현재 65세 이상에서 55세로 대상 확대. 사망보험금 1억을 보유한 70세가 3천만 원은 사망보험금으로 받고 나머지 70%(7천만 원)를 유동화 할 경우 20년간 매달 20만 원을 받을 수 있다. (문화)


4. 은퇴 후 국민연금 깎는 기준 높인다 → 현재 월 309만 원 이상 소득이 있으면 감액. 내년부터는 월수입이 509만 원 미만이면 국민연금이 감액 없도록 손질. 소득 때문에 국민연금이 깎이는 사람이 2019년 8만 9,892명에서 지난해 13만 7,061명으로 52%나 늘어. (헤럴드경제)


5. 식품업종, 짠물 마진? → 풀무원, 100원 팔아 1.9원 남겼다... 영업이익률 1.9%. 롯데웰푸드는 2.5%. 농심(5.5%), 오뚜기(5.6%), 빙그레(5.6%)도 저수익. 반면 해외 매출 비중이 큰 삼양식품(23.5%)과 오리온(16.0%)은 상대적 고수익. 삼양식품은 상반기 매출의 80%, 오리온은 68%를 해외에서 올렸다. (아시아경제)▼

6. 전세시장 저무나... 7월 서울 아파트 신규 임대차 계약 48%가 월세 → 전세의 월세화가 시대 흐름이기도 하지만 6·27 가계부채 관리 강화 대책으로 전세금 마련이 더욱 까다로워져 월세 가속화. (문화)


7. 지방주택 1가구 2주택 매입, 주의할 점 → 1주택 소유자가 인구 감소지역 97개 시·군의 주택을 1채 추가 매입해도 취득세, 양도세 등 중과 면제... 그러나 부동산 세금 부담은 줄지만 분양에서는 1가구 2주택으로 그대로 인정되는 점은 주의해야. (문화 외)


8. 명품 식품? → 매출 감소 직면한 해외 유명 사치품 브랜드들, 식품·화장품으로 사업 다각화. 구찌, 서울 이태원에 레스토랑 운영 중, 루이비통도 오는 9월 서울 청담동에 레스토랑 ‘르 카페 루이 비통’ 예정. 프라다는 성수동에 국내 첫 부티크 매장을 열 계획. (헤럴드경제)


9. 늙어가는 농촌… 고령자 농기계 사망사고 급증 → 2021년~2024년 4년 동안 212명 숨져. 작년 사망자 80%가 60대 이상, 농기계 운전 자격증 제도도입된 지 42년이나 됐지만 없어도 운전 가능해 유명무실. 제도 개선과 함께 젊은 농업인 대리운전 제도 등 도입 필요. (문화)


10. ‘후라이’의 어원? → 허튼소리나 거짓말을 하지 말라는 의미로 쓰이는 이말의 학문적 어원설은 아직 없다. 중국말 ‘호래(胡來)’가 어원 가능성이 있다. 중국어 발음은 ‘훌라이(húlái)’인데 “무분별하게 행동하다”, “문제를 일으키다”란 뜻이다. (매경, 한 어원 연구가의 글 중)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