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0월 17일 월요일

2022년 10월 17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 들



2022년 10월 17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 들

1. 오늘 서울 최저기온 7도 등 20일까지 전국 ‘초겨울 날씨’ → 어제보다 5도 이상 낮아져. 18일에는 더 내려가. 17, 18일에는 강한 바람, 체감 온도 더욱 낮아져. 일교차도 15도가량 벌어진다.(동아 외)


2. 이러고도 IT강국? 카카오 먹통... 국민 일상이 멈췄다 → 데이터센터 화재, 10시간 넘어서 일부 기능 복구. 완전복구 시기 알 수 없는 상황... 백업 시스템 등 재난 대비 없었다는 지적.(세계 외)

*국민 생활, 안보까지 특정 기업의 영리사업에 기반하고 있는 지금의 상황이 문제...


3. ‘메타뉴모 바이러스’ 주의보. 유사 독감, 고열·호흡 곤란... → 10월 2~8일 인플루엔자 의심 증상으로 병원 찾은 환자의 38.4%는 ‘메타뉴모’로 확인. 실제 독감 환자는 1%에 불과. 메타뉴모 때문에 입원한 환자 349명 중 70% 이상이 6세 미만의 영유아.(중앙선데이)


4. 주식시장, 개미는 왜 실패하는가? → 올들어 개인이 많이 매수한 5대 종목의 평균 하락률은 -40.2%, 기관은 -4.1%... ‘포커 판에서 30분이 지나도록 호구(patsy)를 찾을 수 없다면, 당신이 바로 그 호구라는 얘기다’. 워렌 버핏의 투자 격언.(한국, 기획기사)▼

5. 점점 눈 나빠지는 아이들 → 시력이 0.7이하 비율. ▷초등1학년 27.12% ▷초등4학년 45.62% ▷중1학년 65.56% ▷고1학년 74.47%. 시력에는 탁 트인 야외활동이 좋다. 주14시간 이상 야외 활동을 하는 호주 시드니 어린이와 주 3시간만 바깥에서 지내는 싱가포르 어린이를 비교했더니 싱가포르의 어린이 근시 환자가 호주의 9배나 많았다는 연구도 있다.(중앙선데이)


6. 이란 히잡 시위 한 달… ‘독재자에 죽음을’... 구호 더 강해졌다 → 종교적 문제 외 경제난과 빈부격차 등에 대한 젊은세대 분노도 원인. 이란의 8월 물가상승률은 52.2%, 닭고기 값은 10년 전보다 20배, 식용유는 40배 올라. 지난 5년 동안 이란 통화 가치 90% 하락.(국민)


7. 클래식 연주 시장, ‘한국 프리미엄’? → 국제 콩쿠르는 비유럽 출신이 우승하면 콩쿠르의 국제성이 강화된다는 인식 때문에 한중일 연주자들의 저명 콩쿠르 입상이 본격화됐다. 2010년대 국제 콩쿠르 세계 연맹(WFIMC) 통계에 따르면 피아노 경연 입상자 1~3위는 러시아, 한국, 일본이다.(중앙선데이)


8. 치솟는 외식비, 카드 통계로도 확인 → 식당 건당 카드 결제액 2만 9800원 → 3만 3200원. 1년새 10% 이상 급등. 항공(130%), 여객선(33%), 여행사(30.5%)는 더 크게 늘어.(동아)


9. 턱수염 기르기 세계적 유행 → 2013년 이후 세계적으로 턱수염이 유행했다. 블룸버그는 지난 5월 13일 '세계적으로 밀레니얼 세대의 3분의 2, 남성의 절반 이상이 수염을 기르고 있다' 며 면도기 제조회사(질레트) 에게는 ‘대재앙'이라는 기사를 냈다. (중앙선데이)


10. ‘토마토’의 우리말 ‘일년감’ → 토마토가 우리나라에 전래된 것은 400여년 전으로, 조상들은 토마토가 감을 닮은 것에서 착안해 ‘한 해 살이 감’이라는 의미에서 ‘일년(一年)감’ 이라고 불렀다.(경향, 우리말 산책)


이상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